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인 중국은 도시별 보급률, 인프라, 정책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 그중 상하이, 베이징, 선전은 전기차 산업의 선도 도시로 평가받고 있는데요. 이 글에서는 각 도시의 전기차 등록대수, 충전 인프라, 정책 등을 중심으로 중국 전기차 도시 순위를 비교 분석해보겠습니다.
상하이 – 전기차의 메카, 중국의 테스트베드
상하이는 중국 내에서 전기차 산업의 중심지이자, 정책 실험의 전초기지로 불리는 도시입니다. 테슬라 기가팩토리가 위치해 있는 상하이는 산업 측면에서도 글로벌 전기차 허브로 꼽히며, 완성차 생산부터 배터리, 충전 인프라까지 전방위적인 생태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 상하이 내 등록 전기차 수는 약 90만 대에 달하며, 이는 전국 최고 수준입니다. 충전 인프라도 매우 발달되어 있어, 시 전역에 공공 및 민간 충전기가 6만 기 이상 설치되어 있으며, 완속과 급속 비율도 잘 조화되어 실생활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정책적으로는 신차 구매 시 번호판을 무료로 제공하고, 구매 보조금 외에도 주차료 할인, 통행 제한 면제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합니다. 특히 도심 제한구역(LTZ) 진입 허가도 전기차에는 우선 적용되며, 이는 상하이 시민의 전기차 구매를 더욱 유도하는 요인이 됩니다.
또한, 상하이는 자율주행과 관련된 실증 테스트 도시로 선정되어 있으며, 바이두와 샤오미, 니오(NIO) 등 중국 로컬 브랜드가 자율주행 전기차를 도로에서 실험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상하이는 전기차 보급과 미래 모빌리티 기술 적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도시입니다.
베이징 – 규제 속에 피어난 전기차의 꽃
중국 수도 베이징은 엄격한 차량 등록 제한과 환경 규제 속에서도 전기차 보급에 성공한 도시입니다. 특히 차량 번호판 추첨제를 운영하면서, 내연기관차의 신규 등록이 매우 어려운 반면, 전기차는 별도 할당량을 통해 우선 등록이 가능하도록 정책을 설계한 것이 특징입니다.
2024년 현재 베이징의 전기차 등록대수는 약 60만 대 이상으로 추산되며, 이는 전체 차량의 10%에 달합니다. 충전 인프라는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4만 기 이상이 설치되어 있으며, 특히 주거지 내 충전소 보급률이 다른 도시에 비해 높은 편입니다. 이는 베이징시의 ‘주차장 기반 충전소 우선 설치’ 정책 덕분입니다.
베이징시는 자전거 도로, 보행자 중심의 도시 설계를 강조하면서, 개인 승용차에 대한 규제를 강화해왔습니다. 이러한 흐름에서 전기차는 '예외적' 존재로, 도심 진입 제한이 없는 몇 안 되는 차량 중 하나로 꼽힙니다. 그만큼 전기차가 가지는 실용성과 가치가 매우 큽니다.
뿐만 아니라, 베이징시는 전기버스, 전기택시 보급도 전국 최고 수준이며, 공공기관 차량의 80% 이상이 전기차로 대체된 상태입니다. 규제 속에서도 정교한 정책 설계와 수요 유도 전략을 통해, 전기차 친화 도시로 성공적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선전 – 세계 최초 전기차 대중교통 도시
선전은 ‘전기차 도시’라는 수식어가 가장 잘 어울리는 도시입니다. 이미 2017년에 세계 최초로 모든 버스를 전기차로 전환한 데 이어, 2020년에는 택시도 100% 전기차로 바꾸며 대중교통 전동화를 완성했습니다. 지금은 공공기관 차량, 배달용 오토바이까지 모두 전기화가 이루어진 상황입니다.
2024년 기준 선전의 전기차 등록 대수는 약 70만 대에 달하며, 시민들의 전기차 이용률도 전국 최고 수준입니다. 충전 인프라 역시 세계적 수준으로, 도시 전역에 5만 기 이상의 충전소가 운영되고 있으며, '5분 거리 1충전소'를 목표로 밀도 높은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특히 선전은 BYD의 본사가 있는 도시로, 전기차 제조와 소비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구조입니다. 시민들은 가격 경쟁력 있는 BYD 차량을 쉽게 구매할 수 있고, 정부의 구매 장려금과 세금 감면 혜택도 큽니다.
선전시는 디지털 행정시스템을 통해 충전소 예약, 고장 신고, 주차 정보까지 통합 운영하고 있으며, 이러한 ICT 융합은 미래형 스마트 모빌리티 도시로서 선전의 위상을 더욱 강화하고 있습니다.
상하이는 산업 생태계 중심, 베이징은 규제와 정책 중심, 선전은 실사용과 인프라 중심의 전기차 도시 모델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전기차 보급은 기술 이상의 문제이며, 도시 구조와 정책, 시민 수요가 유기적으로 맞물릴 때 진정한 성과를 낼 수 있습니다. 중국의 이 세 도시 사례는 한국 도시들이 전기차 정책을 설계하는 데 있어 매우 유의미한 참고 모델이 될 수 있습니다.